• HOME
  • 산전/산후조리
  • 산후우울증

산후우울증이란?

 

출산 후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산모가 우울감, 불안감, 불면, 의욕저하, 자신감 저하, 죄책감 등을 느끼고 죽음에 대한 생각으로 이어지기도 하는 증상입니다.

일시적인 산후우울감은 85%의 산모들이 경험할 정도로 흔합니다. 대개 분만 후 며칠 내에 시작되어 2주 정도 지속되고 일상생활에 문제를 초래하지 않고 자연적으로 호전됩니다. 산후우울감이 좀 더 심해지는 경우 산후우울증이 나타납니다. 산후우울증은 전체 산모의 약 10~20%에서 발병하는데 대개 출산 4주 전후로 시작되지만 간혹 몇 개월이 지난 후에 나타나기도 합니다. 증상은 산후우울감보다 심하여 일상생활을 방해할 정도이며 산모 자신은 물론 아기의 발달과 정서적 안정에도 심각한 영향을 줍니다. 치료를 받지 않거나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 1년 이상 지속될 수 있습니다. 산후정신병은 산모의 0.1~0.2%에서 나타나는 매우 심각한 상태입니다. 출산 후 수일에서 2,3주 이내 발생하며 극도의 정서불안, 분노, 수면장애, 망상, 혼동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. 자살이나 영아살해와 같은 극단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.

 

 

산후우울증의 원인은?


산후우울증의 원인은 아직까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. 다만 임신과 관련된 호르몬의 변화, 출산과 양육에 대한 스트레스, 걱정, 신체적인 피로, 뇌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
또한 이전 출산에서 산후우울증을 경험한 적이 있는 경우, 임신 기간중에 불안이나 우울을 경험한 경우, 임신 전 우울증의 병력이 있거나 생리전증후군이 심했던 경우, 배우자 또는 가족으로부터 정서적 도움을 받지 못하는 상황일 때 산후우울증이 발생할 위험이 높습니다.

 

 

산후우울증의 증상은?


- 우울감과 심한 감정 변화
- 피로와 무기력이 지속됨
- 식욕이 현저히 저하됨
- 기억력과 집중력이 저하됨
- 아기에 대한 죄책감이나 과도한 걱정 또는 아기에 대한 무관심
- 아기에 대한 적대적거나 폭력적인 태도
- 원인을 알 수 없는 신체적 불편감 등

 

 

산후우울증의 치료는?


한의학에서는 심신허약(心身虛弱), 심음휴손(心陰虧損), 어혈승심(瘀血乘心), 담화상요(痰火上搖)로 인해 발생한다고 보고 산모의 증상과 체질을 고려하여 치료합니다.

 

산후우울증은 무엇보다 가족, 특히 남편의 관심과 지지가 중요합니다. 좋아질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치료를 받을 때 경과가 더욱 좋습니다.

 

산모가 할 일
- 산후우울증은 많은 산모들이 겪는 증상입니다. 우울증으로 인한 죄책감은 떨쳐버리시고 가까운 가족에게 감정을 털어놓으세요
- 틈틈이 휴식을 취하고 충분한 영양 섭취를 하세요
- 완벽한 육아와 가사에 대한 욕심을 줄여주세요
- 아기를 잠시 맡기고 외출을 하여 기분 전환을 해보세요
- 임신 전 즐겼던 취미생활을 다시 시작하는 것도 좋습니다.

 

가족이 할 일
- 산모의 마음을 이해하고 이야기를 잘 들어주세요
- 육아와 가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주세요. 산모가 체력적으로 힘이 들면 산후우울증이 심해집니다.
- 산모가 외출을 하거나 취미생활을 다시 시작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
- 가족의 사랑과 관심을 느낄 수 있도록 표현해주세요

근거논문 +
  • 근거논문01

    Efficacy of the kampo medicine xiong-gui-tiao-xue-yin (kyuki-chouketsu-in), a traditional herbal medicine, in the treatment of maternity blues syndrome in the postpartum period. Ushiroyama T. Am J Chin Med. 2005;33(1)

  • 근거논문02

    Nursing Countermeasures and the Evaluation of the Curative Effect Used with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on Postpartum Depression. Li SH, Li JQ.Chinese Journal of Ethnomedicine and Ethnopharmacy. 2013;14:161

자윤한의원 협력병원 (지점별로 협력병원이 다르니 필요시 해당지점에 문의해주시길 바랍니다.)